7월 온라인 한국영화 상영회 - "광해" 스트리밍
온라인 한국영화 상영회
7월 스트리밍
"광해"
‘7월 온라인 한국영화 상영회’ 개최
세번째 온라인 한국영화 상영회가 7월 31일(금)에 개최 됩니다. 7월 영화상영회의상영작은 추창민 감독이 연출하고 이병헌이 주연을 맡은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입니다.
‘광해, 왕이 된 남자’는 이병헌, 류승룡, 한효주, 장광, 김인권, 심은경, 그리고 김명곤 등 대한민국 대표하는 다채로운 색깔의 배우들이 함께 하여 완벽한 연기 호흡을 볼수 있는 영화다.
2012년에개봉한 ‘광해, 왕이 된 남자’는 누적 관객 1232만 명을 기록하였으며, 대중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2012년 제 49회 대종상 영화제 시상식에서 15관왕을 차지했다.
온라인 영화상영회는 뉴스레터에 가입한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회원들에게는 영화 재생에 필요한 비밀번호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문화원 사이트에 업로드 된 영화는 스트리밍 서비스 개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24시간동안 시청 가능합니다.
* 뉴스레터에 가입하기 위해 7월 31일(금) 17시30분까지 info@culturacorea.it로 메일을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타인에게 비밀번호를 공유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광해, 왕이 된 남자"
일시: 7월31일(금) 오후 4시~ 8월1일(토) 오후 4시 (24시간)
관람 방식: 문화원 홈페이지 스트리밍 영상 (www.culturacorea.it)
시간: 131 분
언어: 한국어 (이탈리아어 자막 지원)
줄거리
왕위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붕당정치로 혼란이 극에 달한 광해군 8년.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에 대한 분노와 두려움으로 난폭해져 가던 왕 ‘광해’는 도승지 ‘허균’에게 자신을 대신하여 위협에 노출될 대역을 찾을 것을 지시한다. 이에 허균은 기방의 취객들 사이에 걸쭉한 만담으로 인기를 끌던 하선을 발견한다. 왕과 똑같은 외모는 물론 타고난 재주와 말솜씨로 왕의 흉내도 완벽하게 내는 하선. 영문도 모른 채 궁에 끌려간 하선은 광해군이 자리를 비운 하룻밤 가슴 조이며 왕의 대역을 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광해군이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엄청난 사건이 발생하고, 허균은 광해군이 치료를 받는 동안 하선에게 광해군을 대신하여 왕의 대역을 할 것을 명한다. 저잣거리의 한낱 만담꾼에서 하루아침에 조선의 왕이 되어버린 천민 하선. 허균의 지시 하에 말투부터 걸음걸이, 국정을 다스리는 법까지, 함부로 입을 놀려서도 들켜서도 안 되는 위험천만한 왕노릇을 시작한다. 하지만 예민하고 난폭했던 광해와는 달리 따뜻함과 인간미가 느껴지는 달라진 왕의 모습에 궁정이 조금씩 술렁이기 시작하는데…
조선 15대 왕으로 16년 간의 짧은 재위 기간에도 불구하고 누구보다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던 폭군으로 역사에 기록된 왕 ‘광해’. 하지만 최근 광해군이 행했던 실리외교의 대외정책과 대동법 등의 민생 안정책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며 더 이상 광해군은 비운의 폭군이 아닌 개혁 군주로 재조명되기도 했다. 이렇듯 당대와 현대의 평가가 극과 극으로 나뉘는 조선의 왕 광해를 다룬 최초의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는 조선왕조실록 ‘광해군일기’ 중 “숨겨야 될 일들은 조보에 내지 말라 이르다”라는 한 줄의 글귀에서 시작된, 광해군 재위 시절 사라진 15일 간의 기록을 과감한 상상력으로 재구성한 팩션 사극이다.
추창민 감독
2000년 연출한 단편 <사월의 끝>이 프랑스 엑상 프로방스 단편 영화제 및 탐페레 국제 단편 영화제에 초청, 상영되었다. <행복한 장의사>, <태양은 없다>, <죽이는 이야기>의 조감독 생활을 거쳤으며, <마파도>는 그의 장편 데뷔작이다.
작품활동
2018 - 7년의 밤
2012 - 광해, 왕이 된 남자
2010 - 그대를 사랑합니다
2006 - 사랑을 놓치다
2005 - 마파도
2000 - 사월의 끝
수상정보
2012 제49회 대종상 영화제 감독상 (추창민)
2012 제49회 대종상 영화제 최우수작품상 (추창민)
2013 제4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분 감독상 (추창민)
2013 제4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분 작품상 (추창민)
배우 이병헌
배우 이병헌은 <광해, 왕이 된 남자>를 통해 데뷔 후 처음으로 사극 연기를 선보였다. <올인>, <아이리스>를 비롯해 <달콤한 인생>,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악마를 보았다> 등 드라마와 영화를 넘나들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이며 스타성과 연기력을 갖춘 최고의 배우로 자리매김한 배우다. 2009년 <G.I. Joe: 전쟁의 서막>으로 성공적인 할리우드 진출 이후 <G.I.Joe2>와 <Red2>에 연이어 캐스팅 되었을 뿐 아니라, 최근 미국 할리우드 TCL 차이니즈 시어터에 아시아 배우 최초로 핸드 프린팅을 남기는 등 월드스타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였다. 최근에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과 영화 <남산의 부장들>, <백두산>에 출연하여 대중의 큰 관심을 받으며 작품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작품활동
영화
1995년 런어웨이 / 네온 속으로 노을지다 / 누가 나를 미치게 하는가
1996년 아마게돈/ 그들만의 세상 러브
1997년 지상만가
1998년 엑스트라
1999년 내 마음의 풍금
2000년 공동경비구역 JSA
2001년 번지점프를 하다
2002년 마리이야기/ 중독
2004년 누구나 비밀은 있다/ 쓰리몬스터 - '컷' 편
2005년 달콤한 인생
2006년 그 해 여름
2007년 히어로
2008년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2009년 지.아이.조: 전쟁의 서막 / 나는 비와 함께 간다
2010년 아이리스: 더 무비 / 악마를 보았다 / 인플루언스
2011년 쉐어 더 비전
2012년 광해, 왕이 된 남자
2013년 지.아이.조 2 스톰쉐도우 / 레드: 더 레전드
2015년 터미네이터: 제네시스 / 협녀, 칼의 기억 / 내부자들
2016년 미스컨덕트 히트맨 / 매그니피센트 7 / 앤트완퓨콰/ 밀정 / 마스터
2017년 싱글라이더 / 남한산성
2018년 그것만이 내 세상
2019년 백두산
2020년 남산의 부장들
드라마
1991년 KBS1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KBS2 아스팔트 내 고향 / KBS2 가족
1992년 KBS1 해뜰날 칼판 / KBS2 이별 없는 아침 / KBS2 내일은 사랑
1993년 KBS1 들국화/ KBS2 살아남은 자의 슬픔
1994년 KBS2 폴리스/ SBS 사랑의 향기
1995년 SBS 아스팔트 사나이 / KBS2 바람의 아들
1997년 SBS 아름다운 그녀 / SBS나는 원한다
1998년 SBS 백야 3.98
1999년 SBS 카이스트 / 해피투게더 / KBS2세리가 돌아왔다 / SBS TV영화 러브스토리 – 해바라기
2001년 SBS 먼길 / SBS아름다운 날들
2003년 SBS 올인
2009년 KBS2 아이리스
2010년 SBS 아테나: 전쟁의 여신
2018년 tvN 미스터 션샤인
수상정보
2020 제25회 춘사영화제 남우주연상 (남산의 부장들)
2020 제56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남산의 부장들)
2020 제56회 대종상 영화제 남우주연상 (백두산)
2019 제55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018 제38회 황금촬영상 연기대상
2018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배우부문 대상
2018 제2회 더 서울어워즈 드라마 남우주연상
2016 제53회 대종상영화제 남우주연상
2016 제37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2016 제3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자연기상
2016 제25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2016 제5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013 제7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남우주연상
2012씨네아시아어워드 올해의 스타상
2012 제13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남자 우수연기상
2012 제49회 대종상영화제 남우주연상
2011 제2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표창
2011 제4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대상
2010 제5회 서울드라마어워즈 한류부문 남우주연상
2010 제4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010 제1회 서울문화예술대상 드라마배우부문 대상
2010 제5회 아시아모델상시상식 아시아스타상
2009 KBS 연기대상 대상
2009 제10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특별상
2006 제14회 춘사대상영화제 한류문화대상
2006 프랑스 문화예술훈장
2006 제42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최우수남자연기상
2005 제13회 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남자주연상
2005 제25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자주연상
2003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최우수 남자연기상
2003 제30회 한국방송대상 탤런트상
2003 SBS 연기대상 대상
1996 제32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연기상
1995 KBS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1995 제6회 춘사영화예술상 새얼굴연기상
1993 KBS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1992 KBS 연기대상 신인상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