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개

KOREAN CULTURAL CENTER

  • 한국 소개
  • 역사
  • 조선시대
조선 (15세기)


14세기 말 고려는 권문세족의 과다한 권력 집중, 홍건족과 왜구의 침입 등 내우외환에 시달렸다. 홍건족과 왜구 격퇴로 민심을 얻은 장군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세력이 고려의 왕을 내쫓고, 이성계를 새 왕조의 첫 왕인 태조로 추대했다. 태조는 즉위한 후 국호를 조선으로 바꿨으며,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인 한양(현재 서울)을 수도로 정하고 도성과 경복궁, 종묘, 도로, 시장 등을 건설하도록 했다.

한양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했을 뿐만 아니라, 한강을 통해서 국내외 교류가 가능했으니 수도로는 최적지였다

태조의 아들 태종은 왕권을 안정시키고 국가의 기반을 다졌다. 호패법을 시행해 전국의 인구를 파악하고, 국가행정을 담당한 육조(이부, 호부, 예부, 병부, 공부, 형부)가 직접 왕에게 보고하는 중앙 집권체제를 확립했다. 태종의 아들 세종은 정치, 사회, 문화의 전성기를 열었다. 집현전을 설치하여 정책을 개발하고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연구하게 했다. 세조~성종 시기에는 국가의 항구적인 통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경국대전이라는 법전을 편찬했으며, 이를 계기로 조선왕조의 통치체제는 더욱 안정됐다.

한글 창제

한국은 고대 왕조부터 한자를 사용했다. 한자를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이두, 향찰을 쓰기도 했으나,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문자가 없어서 쉽게 배우고 쓸 문자의 필요성이 절실했다.

이를 헤아려 세종은 1443년 한글을 창제하여 1446년 반포했다. 한글은 발성 기관의 모습을 본떠 만들어진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운 문자로, 정부와 국민 간의 의사소통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이후, 한국이 문화국가로서 기반을 다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과학기술의 발달

조선 시대에는 과학기술도 괄목할 만큼 발달했다. 물시계인 자격루, 해시계인 앙부일구, 천문관측 기구인 혼천의 등이 만들어졌다.

세계 최초의 측우기가 제작돼 강수량을 측정했으며 토지를 측량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데 인지 의와 규형을 활용하기도 했다. 태조 때는 고구려 시대의 천문도를 바탕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 세종 때는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바탕으로 칠정산이 만들어졌다. 의학 분야도 풍토에 걸맞은 약재와 치료 방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 의료대백과인 《의방유취》 등이 편찬됐다. 활자 인쇄술도 발달하여 금속활자인 계미자, 갑인자가 개발돼 수많은 서적이 인쇄됐다.

조선의 대외관계

조선은 건국 초부터 중국의 명나라와 친선관계를 유지했다. 해마다 사절을 교환했으며 문화·경제 교류가 활발했다. 또한 일본의 요구를 받아들여 부산, 진해, 울산 3포를 개방하여 무역을 허용했으며, 1443년 계해약조를 체결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교역했다. 류큐, 시암, 자바 등 아시아 여러 국가와 교류를 했다.

공예기술의 발달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공예품 가운데 하나는 도자기이다. 왕실이나 관청에서는 분청사기나 백자를 널리 사용했다. 청자에 백토의 분을 칠한 소박하고 안정된 모습의 분청사기는 조선 초기에 널리 사용 됐다. 조선의 도자기 기술은 혁신을 거듭해 16세기경에는 세련된 백자를 만드는 데까지 발달했다. 고려의 전통을 이어 깨끗하고 담백한 모습의 조선백자는 선비문화의 취향과 어우러져 널리 이용됐다.

cheonsangjido_700.jpg

천상열차분야지도(조선, 17세기)
하늘의 별자리를 종이에 필사한 천문도



임진왜란

조선을 건국한 14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일본과의 관계는 원만했다. 그러나 16세기 들어 일본이 더 많은 교역을 요구했으나 조선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일본인들은 삼포왜란(1510년), 을묘왜변(1555년) 등을 일으켜 조선 사회를 뒤흔들었다. 도요토 미 히데요시는 120여 년에 걸친 전국시대의 혼란을 수습하고 일본을 통일했다. 그는 제후들의 힘을 분산하고 통치의 안정을 위해 20만 대군을 동원해 조선을 침공했다. 1592년부터 1598년까지 7년간 2차례에 걸쳐 계속된 이 전쟁을 임진왜란이라고 한다.

sundial_700.jpg

앙부일구(조선, 17~18세기)
시간과 계절에 따른 해그림자의 변화를 이용한 해시계



raingauge_700.jpg

측우대(조선, 18세기)
측우기를 올려놓고 측정하던 ‘대구선화당측우대’



조선의 왕이 의주로 피란하여 명나라에 군사 지원을 요청한 가운데 일본군은 평양과 함경도 지방까지 침략했다. 이에 대항해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특히 조선 최고의 명장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이 연승을 거듭해 제해권을 장악하고, 호남의 곡창지대를 지켜 일본군의 보급선을 차단함으로써 일본군의 기세를 꺾었다. 더구나 1597년 일본이 재차 침입해왔을 때 이순신 장군은 13척의 배로 일본의 133척의 전함과 전투를 벌여 세계 전사에 남을 대승을 거뒀다. 이를 명량해전이라 고 한다.

whiteprocelain_700.jpg

백자 매화 대나무 새무늬 항아리(조선, 15세기)
한국적인 정서가 돋보이는 대나무와 새, 매화나무를 세련되게 표현한 조선 전기의 청화백자이다.



일본군은 패색이 짙어지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이 겹치자 철수했다. 일본군의 침략으로 불국사를 비롯한 많은 문화재가 소실됐다. 그러나 일본은 약탈해 간 서적, 활자, 그림을 통해 선진적인 학문과 예술을 배웠고, 특히 조선에서 납치해간 도공이 도자기 문화를 발전시켰다.

서민문화의 발달

조선 후기에 상공업이 발달하고 서당교육이 보급되면서 서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자 오락문화도 다양화됐다. 한글 소설이 보급됐으며 판소리와 탈춤 등 놀이문화가 발달했다. 특히 구체적인 이야기를 창과 사설로 엮어 전달하는 판소리는 폭넓은 인기를 얻었다. 광대가 이야기를 더하거나 뺄 수 있고, 관객도 추임새로 함께 즐길 수 있어 대표적인 서민문화로 발전했다.

19세기 후반, 신재효는 판소리 사설을 창작하고 정리했다. 오늘날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 등이 전해지는데 이를 판소리 다섯 마당이라고 한다. 탈놀이, 산대놀이 등 가면극도 민중 오락으로 인기를 끌었다.

sandaenori_700.jpg

산대놀이
전통 민속놀이이자 무용으로 놀이꾼들이 탈을 쓰고 재담, 춤, 노래, 연기하며 벌이는 일종의 연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