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개

KOREAN CULTURAL CENTER

  • 한국 소개
  • 경제
  • ‘한강의 기적’을 쓴 고도성장 한국

한국전쟁의 폐허를 딛고 눈부신 성장을 이뤄낸 한국은 세계 10위권의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반도체, 자동차, 화학, 철강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음악, 영화, 웹툰 등의 문화 콘텐츠가 한국 경제를 견인하는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 국제사회로부터 선진국 위상을 인정받았고, 세계 7대 우주강국 반열에 올라섰다.

한국은 세계에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경제 성장을 이뤘다. 자본과 자원이 거의 없는 여건에서, 더구나 1950년부터 1953년까지 3년간의 전쟁으로 산업시설이 거의 폐허가 된 상태에서 이뤄낸 경제 성장을 세계는 ‘한강의 기적’ 이라고 한다. 


한국은 1960년대부터 수출주도형 경제발전 계획을 세워 추진했다. 처음에는 원자재나 소규모 공장에서 생산한 경공업제품을 주로 수출하다가, 1970년대부터 중화학공업 시설 투자를 통한 경제 발전을 추진해 중공업제품 수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는 한국이 경제적으로 선진국 문턱에 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외국 언론은 한국을 대만, 홍콩,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렀다. 1996년 12월에는 대부분 선진국으로 구성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세계 29번째로 가입했다. 아시아의 용을 넘어 ‘세계의 용’으로 거듭난 것이다.



현대자동차 울산 공장 수출 선적부두 및 야적장 자동차는 한국의 대표적 수출 품목 중 하나이다.



수출 실적은 1960년 3,282만 달러에서 1977년 1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2021년에는 6,445억 달러로 가파르게 늘어났다. 정부수립 무렵인 1953년 1인당 국민소득이 67달러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35,373달러로 비약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은 자본과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집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대기업 중심의 수출주도형 경제 구조를 탄생시켰다. 즉, 대기업 집단이 생기고, 수출과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대외 경제에 민감한 경제 구조를 갖게 됐다. 


1997년 11월에는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외환위기를 맞았다. 과감하게 부실 기업을 퇴출하고 구조조정을 시행해 2년 만에 성장률과 물가를 정상으로 돌리고 경상수지 흑자를 이뤄냈다. 이 과정에서 IMF로부터 빌린 외환을 갚기 위해 국민 350만 명이 집에 보관하던 227t의 금을 모았다. 국민이 자발적으로 외채 갚기에 나선 일은 세계의 주목을 받았고 국제사회에 큰 감명을 줬다.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동안 한국은 국제화된 경제·금융제도를 도입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기도 했다. 


경제 위기를 극복한 한국 경제는 건실한 성장을 계속했다. 국내총생산(GDP)은 2001년 5,046억 달러에서 2022년에는 1조6,643억 달러로 늘어났다. 한국은 2010년 세계 7대 수출국으로 도약한 데 이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무역 1조 달러 실적을 거뒀다. 2015년과 2016년에는 주춤했지만 2017년에는 1조 달러 수준을 회복했다. 2021년에는 1조8,102억 달러로 사상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 2021년 기준으로 4,631억 달러의 외환보유고를 기록해 외부의 경제 충격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을 달러 방어막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제사회도 이런 경제적 성과를 높이 평가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